levvels (1) 썸네일형 리스트형 DevOps에서 오토스케일링까지: Karpenter와 KEDA의 실전 활용법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DevOps는 단순히 CI/CD를 넘어, 운영 효율성과 자동화된 인프라 관리를 통합하는 문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흐름 속에서 등장한 KEDA와 Karpenter는 DevOps 환경에서 트래픽 대응력과 비용 최적화를 동시에 실현해주는 핵심 도구입니다.이번 글에서는 DevOps 관점에서 Karpenter와 KEDA의 실제 활용 방식과, 금융 플랫폼 코인원(Coinone)과 Web3 플랫폼 MOMENTICA의 사례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DevOps에 Karpenter와 KEDA가 중요한 이유DevOps의 핵심 목표는?빠르고 안정적인 배포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자동 대응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만족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인프라도 애플리케이션 수준에.. 이전 1 다음